2025년 7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또 한 번 변동되었습니다.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와 글로벌 금리 동향, 그리고 7월부터 적용되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강화로 인해 각 은행별 금리 정책이 더욱 세분화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 시중은행 및 보험사, 저축은행의 2025년 7월 최신 주담대 금리 순위를 비교 분석하고, 금리 인하 흐름과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7월 은행별 주담대 금리 순위 (최신)
7월 기준, 5대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의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84%로, 전월 대비 0.15%p 하락했습니다.
삼성화재, 농협은행, 아이엠뱅크, 전북은행 순으로 최저금리를 보이고 있으며, 은행별로 최저금리와 평균금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의 조건에 맞는 금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 표는 2025년 7월 기준, 주요 금융사별 주담대 최저금리 순위입니다.
순위 | 은행/금융사 | 최저금리(연) | 특징/비고 |
---|---|---|---|
1 | 케이뱅크 | 2.88% | 비대면, 간편 신청, 신용점수 영향 無 |
2 | SC제일은행 | 3.14% | 외국계 은행, 우대금리 적용 시 |
3 | 광주은행 | 3.60% | 지역 거주자 우대 |
4 | iM뱅크(구 대구은행) | 3.62% | 모바일 특화 상품 |
5 | NH농협은행 | 3.62% | 5대 은행 중 최저 |
6 | 하나은행 | 3.635% | 안정적 금리, 비대면 우대 |
7 | BNK부산은행 | 3.67% | 지방은행 강세 |
8 | 삼성생명 | 3.70% | 보험사 상품 |
9 | KB국민은행 | 3.78% | 모바일 간편, 우대금리 폭 넓음 |
10 | IBK기업은행 | 3.81% | 기업·개인 모두 가능 |
11 | BNK경남은행 | 3.95% | 지방은행 |
12 | 우리은행 | 4.07% | 5대 은행 중 상위권 |
13 | 한화생명 | 4.19% | 보험사 상품 |
14 | 한국투자저축은행 | 4.37% | 저축은행 |
15 | 현대캐피탈 | 4.38% | 캐피탈사 |
16 | 삼성화재 | 4.40% | 보험사, 7월 기준 최저금리 1위(상품별) |
17 | 전북은행 | 4.42% | 지방은행 |
18 | 교보생명 | 4.50% | 보험사 |
19 | SBI저축은행 | 4.63% | 저축은행 |
20 | 에잇퍼센트 | 6.80% | P2P 금융 |
21 | 크플 | 6.90% | P2P 금융 |
22 | 한국캐피탈 | 7.90% | 캐피탈사 |
※ 최저금리는 신용등급, 담보조건, 대출금액, 만기 등 개인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교 플랫폼(네이버페이 등)에서 본인 조건으로 실시간 조회 후 신청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5대 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중에서는 농협은행(3.49%)이 가장 유리하며, 신한(3.66%), 우리(3.86%), 하나(4.01%), 국민(4.17%) 순입니다[3][7].
2025년 7월 주담대 금리 동향 및 전망
2025년 7월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50%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와의 격차는 2.0%p로, 원화 약세 부담과 물가 안정 효과가 동시에 작용하고 있습니다.
COFIX(코픽스) 기준금리는 7개월 연속 하락하며, 은행별 변동금리 상품에도 하락 압력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7월부터 시행되는 DSR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대출 증가 속도를 조절하고 있어, 일부 은행은 가산금리 인상 또는 우대금리 축소로 대응하고 있습니다[8].
비대면·모바일 전용 상품에서 특히 낮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니, 온라인 비교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 고정금리: 금리 변동 위험이 적어 장기 대출에 안정적. 최근 신규 취급 비중이 90% 육박.
- 변동금리: COFIX 등 기준금리 하락 시 이점. 단, 향후 금리 인상기에는 부담 증가.
- 최근에는 혼합형(고정+변동) 상품도 인기.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전략 및 유의사항
금리 인하 흐름이 이어지면서, 기존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상품으로 갈아타는 대환대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 0.1%p 금리 차이도 30년 만기 기준 수백만 원의 이자 차이가 발생하므로, 정기적으로 금리 비교 및 갈아타기를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5].
대환 시 중도상환수수료와 신규 대출 심사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대환대출은 비대면 비교 플랫폼에서 조건별로 쉽고 빠르게 신청 가능
- 신용점수 하락 없이 여러 금융사 금리 동시 조회 가능
- 신청 전 중도상환수수료 및 부대비용 체크 필수
주요 대출 비교·신청 플랫폼
2025년 7월 주담대 금리 비교 Q&A
- Q. 주담대 금리, 앞으로 더 떨어질까?
A.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은 있지만, 은행별로는 DSR 등 규제 영향으로 금리 인하 폭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비교 플랫폼에서 실시간 확인이 가장 정확합니다[3][8]. - Q. 대환대출, 누구에게 유리한가?
A. 기존 대출 금리가 0.2%p 이상 높거나, 중도상환수수료가 1% 미만이면 대환 효과가 큽니다. 단, 신용도·담보가치 등 심사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5]. - Q. 모바일·비대면 신청이 더 유리한가?
A. 최근 비대면 전용 상품에서 최저금리가 많이 나오며, 신청 절차도 간편합니다. 단, 본인 조건에 따라 금리가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여러 금융사 비교 후 결정하세요[7].
마무리 및 꿀팁
- 금리만 보지 말고 우대조건, 부대비용, 상환방식까지 꼼꼼히 비교
- 정기적으로 금리 변동 체크 및 갈아타기 시기 고민
- 신규 대출, 대환대출 모두 여러 금융사 비교 후 신청이 필수
2025년 7월 주담대 금리, 지금 바로 비교해보세요!
- 2025년 7월 주담대 금리
- 은행별 주택담보대출 비교
- 최저금리 주담대
- 대출 갈아타기
- 대환대출 전략
- COFIX 금리
- DSR 규제
- 비대면 주담대
- 주담대 신청 방법
- 주담대 금리 전망